[SQLite] 쉼표로 구분된 문자열을 행으로 분할 하나의 컬럼에 "a,b,c"처럼 저장된 데이터를 여러 행으로 분할하는 방법 🎯 목표 SQLite에서 다음과 같은 데이터 변환을 수행하는 것 변환 전: IDvalues_column1a,b,c2d,e3f,g,h,i 변환 후: IDvalue1a1b1c2d2e3f3g3h3i 🛠️ 해결 방법들 방법 1: JSON 함수 사용 (SQLite 3.45+) WITH split_data AS ( SELECT Keun.R 5 min read 2025.07
Colima: macOS에서 Docker 환경 최적화하기 Docker Desktop은 macOS에서 Docker 환경을 쉽게 실행할 수 있는 GUI 기반 도구로 널리 사용됩니다. 그러나 사용 중 자주 무거움을 느끼거나 리소스 과다 소모로 인해 배터리가 빠르게 소모되는 경우가 많습니다. 특히, 고성능 작업 시 Docker Desktop이 자주 느려지거나 갑작스럽게 종료되는 문제를 경험할 수 있습니다.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경량화된 대안으로 등장한 Keun.R 5 min read 2025.01
CTE(Common Table Expression)와 비중(Portion) 활용한 할인 안분 계산 오랜만에 다시 블로그 포스팅을 남겨본다. 최근 진행하는 프로젝트 중 Postgres 를 많이 다루고 있는데 자주쓰는게 있어서 기록차원에서 남겨봄. CTE(Common Table Expression)에 대한 개념과 실무에서 자주 활용하는 비중(Portion) 기반의 할인 안분 계산 방법을 다뤄보려고 함. 이 내용을 알면, 복잡한 할인 계산을 단순화하고, SQL 쿼리의 가독성과 효율성을 높일 수 Keun.R 6 min read 2024.12
React Hooks: useState, useEffect, useCallback React 16.8에서 소개된 Hooks는 함수형 컴포넌트에서 상태 관리와 생명주기 기능을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강력한 도구입니다. 이 포스트에서는 가장 자주 사용되는 세 가지 Hook인 useState, useEffect, useCallback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. 목차 1. useState 2. useEffect 3. useCallback 4. 종합 예제 5. 결론 useState useState는 함수형 컴포넌트에서 상태를 관리할 수 Keun.R 4 min read 2024.10
Next.js의 Pages Router vs App Router: 상세 비교 가이드 Next.js는 React 기반의 강력한 웹 프레임워크로, 서버 사이드 렌더링(SSR)과 정적 사이트 생성(SSG)을 쉽게 구현할 수 있게 해줍니다. Next.js 13 버전부터는 기존의 Pages Router와 함께 새로운 App Router가 도입되었습니다. 이 포스트에서는 두 라우팅 시스템의 차이점을 자세히 살펴보고, 각각의 장단점을 비교해보겠습니다. 목차 1. Pages Router 소개 Keun.R 7 min read 2024.10
npm vs Yarn: Node.js 패키지 매니저 비교 npm과 Yarn은 모두 Node.js에서 사용하는 패키지 매니저로, 프로젝트의 의존성을 설치하고 관리하는 데 사용됩니다. 두 패키지 매니저는 유사하지만 성능, 기능, 사용 편의성 측면에서 차이점이 있습니다. 이 포스팅에서는 npm과 Yarn의 특징과 차이점을 비교하고, 각 패키지 매니저의 장단점 및 주요 명령어를 소개합니다. npm 소개 npm(Node Package Manager)은 Node.js와 함께 Keun.R 5 min read 2024.09
PM2: Node.js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프로세스 매니저 PM2는 Node.js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프로덕션 레벨의 프로세스 관리자입니다. 서버 재부팅 후에도 애플리케이션을 계속 실행할 수 있게 하고, 프로세스 모니터링, 로깅, 클러스터링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합니다. 특히, 실시간 프로세스 관리 및 자동 재시작을 통해 안정적인 서버 운영을 돕습니다. 주요 특장점 1. 프로세스 관리 * PM2는 서버에서 실행되는 Node.js 애플리케이션을 백그라운드에서 Keun.R 5 min read 2024.09
실시간 스트리밍 응답 LLM Chat 서비스 개요 LLM(대형 언어 모델)을 활용한 Chat 서비스를 만들면서, 기존 방식으로는 긴 응답 시간을 기다리는 것이 사용자 경험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. 응답이 완전히 처리될 때까지 기다려야 하는 구조는 사용자에게 답변이 지연된 것처럼 느껴지게 했습니다. 이를 해결하기 위해 SSE(Server-Sent Events)를 이용해 실시간 스트리밍 응답 방식을 Keun.R 6 min read 2024.09
Review Vision and Mission Statement 미션 "개인과 기업이 생산성, 효율성, 그리고 성장을 통해 더 큰 가치를 창출하고, 세상에 긍정적인 영향력을 미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." "개인과 기업이 업무 효율성과 생산성을 극대화하여 더 큰 가치를 창출하도록 지원합니다. 이를 통해 모두에게 유익을 주는 세상을 만들어갑니다." 비전 "모두가 자신의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하여 세상을 더 Keun.R 4 min read 2024.09